유네스코는 1972년부터 특정한 지역이나 역사에 구애받지 않고 인류가 공동으로 지키고 보존해야 할 건축물, 유적지, 자연적물 등을 세계유산으로 지정 보존 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에 대해 소개합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란?
유네스코는 1972년 '세계유산협약'을 제정하여 전 인류가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공동의 유산을 세계 유산으로 지정하고 보존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세계유산은 세 개의 분야로 나누어집니다. 다양한 역사적, 고고학적 기념물과 건축물, 유적지 등은 문화유산으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기념물 가운데 과학상, 보존상, 미관상 탁월한 가치를 지닌 경우에는 자연유산으로 지정합니다.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복합유산으로 지정합니다. 또 전쟁 지역과 같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은 별도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2021년 8월 기준 세계유산은 167개국에 1,154건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 문화유산은 897건, 자연유산은 218건, 복합유산은 39건입니다. 또한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도 52건이 있습니다.
세계 문화유산 등재 기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기준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문화유산의 등재기준은 6가지입니다.
기준 | 사례 | ||
세계문화유산 | Ⅰ |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 호주 오페라 하우스 |
Ⅱ |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 기술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 러시아 코로멘스코이 성당 | |
Ⅲ |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특출한 증거일 것 | 태국 아유타야 유적 | |
IV | 인류 역사의 중요 단계를 보여주는 건물, 건축,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종묘 | |
Ⅴ |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 육지, 바다 사용의 보여주는 대표 사례일 것 | 리비아 가다메스 옛도시 | |
Ⅵ |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을 권장함) | 일본 히로시마 원폭돔 | |
모든 문화유산은 진정성이 필요함 |
세계 자연유산 등재기준
기준 | 사례 | ||
세계자연유산 | Ⅶ | 최상의 자연 환경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 | 케냐 국립공원 제주 용암동굴과 화산섬 |
Ⅷ | 생명의 기록, 지질학적 주요 진행과정, 지형학이나 자연지리학적 측면의 중요 특징을 포함하여 지구 역사상의 주요 단계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 | 제주 용암동굴과 화산섬 | |
Ⅸ | 육상, 민물, 해안, 해양 등 생태계와 동, 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의 주요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일 것 | 케냐 국립공원 | |
Ⅹ | 과학이나 보존 관점에서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 서식지를 포괄한 것 | 중국 쓰촨 자이언트 팬더 보호구역 |
이상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등재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으로 구분됩니다. 세계문화유산은 문화적 가치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창의성, 시대성, 인간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선정합니다.
세계자연유산의 등재기준은 자연적인 아름다움, 지역적 특성의 반영, 가치적인 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것 등이 등재기준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갓바위 최단 코스, 난이도, 소요 시간 알아보기 (0) | 2024.03.24 |
---|---|
서울 5대 고궁 투어 코스(ft. 당일 코스 알아보기) (0) | 2024.03.20 |
서울 역사 관광지 시대 별 대표 명소 알아보기(선사~고려시대) (0) | 2024.03.19 |
포천아트밸리 운영 시간, 입장료, 볼거리 알아보기 (0) | 2024.03.16 |
근대 관광이 발달한 계기와 역사 알아보기 (0) | 2024.03.12 |
서양 관광의 역사, 원시시대~중세 사회까지 (0) | 2024.03.09 |
한국 관광의 역사 알아보기 (0) | 2024.03.08 |
서울 고궁 4대 궁인가 5대 궁인가, 정확하게 알아보기 (0) | 2024.03.04 |